Update. 2023-03-21
  • 2023년 03월 21일

호남·금남호남정맥에서 미세먼지 줄이는 바람길숲 발견 - 호남·금남호남정맥 자원실태변화 조사 완료 -

페이지 정보

미디어창 기자  | 작성 23-01-27 12:58  |    승인 23-01-28 10:55  | 댓글 0건

본문

675acbc04762bc5efd0dc2b6ee2ad8a9_1674791902_5869.jpg
675acbc04762bc5efd0dc2b6ee2ad8a9_1674791902_69.JPG
675acbc04762bc5efd0dc2b6ee2ad8a9_1674791902_734.JPG
675acbc04762bc5efd0dc2b6ee2ad8a9_1674791902_7701.JPG 

□ 산림청(청장 남성현)은 호남정맥 448km, 금남호남정맥 72km의 산림 실태변화를 조사한 결과, 두 정맥의 산림에서 생성된 찬 공기가 광주광역시를 비롯해 전주시, 남원시, 순천시, 여주시 등 전라남·북도 17개 시·군의 미세먼지 확산을 차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7일 밝혔다.


  ○ 호남정맥은 전라북도 진안군 주화산에서 전라남도 광양시 백운산까지 연결되는 구간이며, 금남호남정맥은 경상남도 함양군 장안치에서 전라북도 진안군 주화산으로 이어진다.

    * 정맥이란 백두대간에서 분기된 13개의 주요 산줄기로서 「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」에 규정되어 있음


□ 여름철 폭염과 열대야를 완화시켜주는 것으로도 나타났다. 특히 남원시에서 찬 공기 생성과 흐름이 가장 원활한 것으로 분석되어 금남호남정맥 산림의 혜택을 크게 누리는 것으로 조사되었다.


  〇 호남·금남호남정맥의 이러한 녹색에어컨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정맥의 지속적인 보전과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.

      * 찬 공기 : 폭염 및 열대야 현상을 완화함


□ 이번 호남·금남호남정맥 조사 결과, 식물상은 총 120과 426속 832분류군이 출현하였는데,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4,364분류군의 19.1%에 해당한다. 


  〇 그동안 볼 수 없던 세뿔투구꽃, 백작약, 금붓꽃 등 희귀식물을 새롭게 발견하였으며, 동물상은 포유류 12종, 조류 75종, 양서·파충류 14종, 나비류 61종 등이 출현하였다.


□ 김용관 산림보호국장은 “이번 조사를 통해 정맥 보호의 필요성과 가치가 입증되었으며, 우리나라 국토 전반에 분기되어있는 정맥이 잘 보존될 수 있도록 정책 및 사업 발굴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”이라고 말했다.

    저작권자 ©미디어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
이전 기사

‘댕댕아, 견생 최초 울릉도 여행 가볼까?’ - 한국관광공사, 반려견과 함께하는 ‘울릉도 댕댕크루즈’ 단체상품 출시- - 여행 비수기에 새로운 여행 수요 창출 기대 -

다음 기사

함께 이겨내요! 모두 동참해요! 사랑의 헌혈! -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2023년‘사랑의 헌혈’실시 -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